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0

일본에서 화학물질을 규제하는 법률 일본에서 화학물질을 규제하는 법률 중에서 흔히 혼동되는 두 가지가 화반법(化審法)과 화관법(化管法)입니다. 각각의 목적과 적용 범위가 다르므로 구분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화반법 (化審法)정식 명칭: 화학물질의 심사 및 제조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영문 명칭: Chemical Substances Control Law (CSCL)제정 배경: 1973년, PCB 혼입 식용유 사건(가네미 유증 사건)을 계기로 제정됨주요 특징:신규 화학물질의 사전 심사: 제조·수입 전에 분해성, 축적성, 독성 등을 평가화학물질 분류:• 신규화학물질• 일반화학물질• 우선평가화학물질• 제1종·제2종 특정화학물질• 감시화학물질제조·수입량 보고 의무: 일정량 이상 취급 시 정부에 보고이행 부처: 후생노동성(MHLW), 환경성(MO.. 2025. 7. 13.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조약 POPs 조약은 공식적으로 스톡홀름 협약(Stockholm Convention on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이라 불리며, 2001년 채택되어 2004년 발효된 국제 환경 협약입니다. 이 협약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의 생산, 사용, 수출입을 제한하거나 금지함으로써 인간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핵심 내용• 대상 물질: DDT, PCB, 다이옥신, 푸란, 헥사클로로벤젠 등 독성, 생물농축성, 장거리 이동성이 강한 물질들 A B• 부속서 A: 생산 및 사용 금지 대상• 부속서 B: 제한적 사용 허용 대상• 부속서 C: 의도치 않게 생성되는 POPs의 배출 저감 대상주요 메커니즘• 특정 면제(Spe.. 2025. 7. 13.
TMA(Trimethylaluminum) 전구체 TMA(Trimethylaluminum)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고순도 유기금속 화합물로, 주로 산화알루미늄(Al₂O₃)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원자층 증착(ALD) 및 금속유기화학기상증착(MOCVD) 공정에 활용됩니다. 화학식은 Al(CH₃)₃이며, 실제로는 Al₂(CH₃)₆ 형태의 이량체로 존재합니다.이 물질은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 공기나 수분에 노출되면 자발적으로 발화할 수 있을 정도로 반응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질소나 아르곤 같은 불활성 분위기에서 취급해야 하며, 저장 시에도 밀폐된 금속 용기에 보관해야 합니다.TMA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과 응용 분야를 가집니다.첫째, ALD 공정에서 TMA는 H₂O 또는 O₃와 교대로 주입되어 정밀하고 균일한 산화알루미늄 박막을.. 2025. 7. 12.
반도체 절연막의 로드맵 반도체 절연막의 로드맵은 소자의 미세화, 고속화, 저전력화 요구에 따라 유전율 제어, 적층 구조 대응, 신소재 도입을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이후에는 초저유전율(Ultra Low-k) 소재와 3D 적층 구조 대응 절연막이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기술 발전 방향• 유전율 저감: 배선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해 Low-k → Ultra Low-k → Air Gap 구조로 진화• 박막 증착 기술 고도화: ALD 기반의 원자층 제어 기술 확대, Gap-fill 능력 향상• 열적·기계적 안정성 확보: TDDB(Time-Dependent Dielectric Breakdown), EM(Electromigration) 대응 소재 개발• 3D 구조 대응: TSV, 하이브리드 본딩 등 적층 .. 2025. 7. 12.
AFM(Atomic Force Microscope)의 원리와 응용분야 AFM(Atomic Force Microscope)은 나노미터 수준의 표면 구조와 물리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주사탐침현미경(SPM)의 일종으로, 전기적 전도성과 무관하게 거의 모든 물질을 관측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그 작동 원리는 시료 표면과 탐침 사이의 원자간 상호작용력을 감지하여 표면 형상을 재구성하는 데 있습니다.AFM은 실리콘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제작된 매우 날카로운 탐침을 유연한 막대인 캔틸레버에 부착하여 구성됩니다. 이 탐침이 시료 표면에 접근하면 반데르발스 힘, 정전기력, 척력 등의 미세한 힘이 작용하여 캔틸레버가 휘어지게 됩니다. 이 휘어짐은 캔틸레버에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되어 포토디텍터로 전달되면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이를 통해 시료 표면의 3차원 형상이 재구성됩니다. 이.. 2025. 7. 12.
하이브리드 본딩(Hybrid Bonding) 하이브리드 본딩(Hybrid Bonding)은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로, 칩 간 연결을 더욱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기존의 솔더 범프(solder bump) 방식과 달리, 금속과 절연체를 동시에 직접 접합함으로써 전기적·기계적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개념 및 원리• 정의: 금속-금속(Cu-Cu)과 절연체-절연체(SiO₂-SiO₂) 접합을 동시에 수행하는 본딩 기술• 접합 방식: 표면을 평탄화한 후 분자 간 인력을 활용해 직접 접합. 이후 열처리를 통해 확산 결합을 완성• 기존 방식과의 차이: 솔더 범프를 사용하지 않으며, 더 미세한 피치와 낮은 접합 저항을 구현 가능공정 단계1. 표면 준비• CMP(화학적 기계적 연마)로 평탄화• 플라즈마 활성화로 접합력 강화•.. 2025. 7. 12.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은 생물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보전하기 위한 핵심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유전적 다양성, 종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의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각각은 생물의 다양성을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며, 서로 연결되어 생태계의 건강성과 회복력을 결정합니다.유전적 다양성같은 종 내에서 개체들이 가지는 유전적 차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종의 꿀벌이라도 유전자 구성에 따라 행동이나 생존 능력이 다를 수 있습니다. 유전적 다양성이 높을수록 질병이나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커지며, 종의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종 다양성특정 지역이나 생태계에 존재하는 생물 종의 수와 분포를 나타냅니다. 단순히 개체 수가 많은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을 때 종 다양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예를 .. 2025. 7. 11.
인수공통감염병(Zoonotic diseases) 증가의 배경 인수공통감염병(Zoonotic diseases)은 동물과 인간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전파되는 감염병을 의미합니다. 이는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곰팡이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며, 공중보건뿐 아니라 생태계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문제로 간주됩니다.다음은 인수공통감염병의 핵심 내용입니다정의와 특징인수공통감염병은 척추동물과 인간 사이에서 병원체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파되는 질병입니다. 대표적으로 광견병, 조류 인플루엔자, 에볼라, 코로나19, 라임병 등이 있으며, WHO에 따르면 인간 감염병의 약 60%가 동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전파 경로• 직접 접촉: 감염된 동물의 체액, 배설물, 상처 등을 통한 전파• 간접 접촉: 오염된 물체나 환경을 통한 감염• 매개체: 진드기, 모기.. 2025.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