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8

2000계 Al-Cu-Mg 합금 (Al-Cu-Mg alloys) Al-Cu-Mg합금이란? 알루미늄 합금 중 처음으로 개발된 석출경화 합금이 바로 2000계 Al-Cu-Mg합금입니다. 알루미늄-구리-마그네슘(Al-Cu-Mg) 합금은 항공우주 및 운송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합금은 강도 대 중량 비율(High strength and low density)이 우수하고, 내식성이 높으며,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입니다. Al-Cu-Mg합금의 특징 Al-Cu-Mg 합금은 고강도와 인성의 조합을 나타내는 석출 강화형 합금입니다. 알루미늄에 구리와 마그네슘을 첨가하면 합금의 강도와 경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부식에 대한 저항성도 높아집니다. 이러한 합금은 최대 강도를 얻기 위해 열처리될 수 있으며, 성형성, 용접성 및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Al-Cu합금에 Mg을 .. 2022. 1. 24.
Bi-Cu-Sn ternary phase diagram by ThermoCalc Bi-Cu-Sn ternary phase diagram by ThermoCalc using COST531 database Thermodynamic 계산으로 생성 가능한 stable phase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 M. O, H. Fujita, E. Kobayashi, M. Kajihara, Kinetics and thermodynamics of compound growth due to reactive diffusion between solid Cu and binary Bi-Sn alloys, Journal of Molecular Liquids, 2022 2021. 12. 21.
알루미늄 합금의 분류 / Classification of Al alloys 열처리 여부에 따라 비열처리형, 열처리형 합금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비열처리형 합금의 경우는 압연 등 냉간가공에 의해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합금재료이고, 고용강화, 분산강화, 가공경화에 의해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열처리형 합금의 경우, 용체화처리, 시효처리 등의 열처리 방법에 의해 강화하는 합금재료입니다. 알루미늄 합금은 일반적으로 조성에 따라 합금 지정 시리즈로 분류됩니다. 1. 1xxx 계열: 거의 순수한 알루미늄이며 최소 알루미늄 함량은 99%입니다. 열처리가 불가능하며 내식성이 우수하고 열전도율이 높으며 가공성이 좋습니다. 2. 2xxx 계열: 구리를 기본 합금 원소로 포함하며 열처리가 가능합니다. 고온에서 좋은 강도를 갖지만 내식성은 좋지 않습니다. 구리를 첨가한 2원계.. 2021. 10. 26.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의 단위: %IACS 알루미늄 합금을 시효열처리 하는 과정에서 열처리 시간에 따른 전기전도율을 측정하여 경도 측정 결과와 함께 조직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활용한다. 알루미늄 이외에도 은과 금과 같은 금속 및 합금의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이때 전기전도율의 단위는 보통 %IACS로 표기하는데, IACS는 Inte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의 약자로, pure Cu의 상온에서의 전기전도율을 100%로 두고 이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은의 경우 %IACS 값이 105%IACS 정도로 이는 구리보다 5% 정도 전기 전도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스테인리스강은 %IACS가 3% 미만으로 매우 낮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냅니다. 여러 금속과 합금의 전기전도도 데이터.. 2021. 10. 5.
EDS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시료에서부터 방출되는 특성X선(Characteristic X-ray)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원소를 특정한다. 특성X선이 생기는 원리와 각 원자를 특정하는 방법 아래 그림과 같이 가속된 전자가 원자책 주위의 전자를 산란시키게 되면 높은 에너지 레벨을 가지는 바깥 shell의 전자가 빠져나간 전자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다른 에너지 레벨 간의 이동에 의해 에너지 차이와 동등한 파장을 가지는 X선의 방출이 일어난다. 여기에서 각 원자의 에너지 레벨은 특정한 값을 가지기 때문에, 방출된 X-ray의 파장을 분석하게 되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EDS에 의한 샘플 분석 과정 샘플을 전자 빔으로 조사 X선 방출 검출기가 각각의 X선을 전압으로 변환 검출기에서의 전기신호.. 2021. 9. 15.
The diffusion coefficients in metallic materials Binary system에서는 Boltzmann-Matano method를 이용하여 상호확산계수의 계산이 일반적이다. Ternary system의 경우, Matano-Kirkaldy method 또는 Whittle-Green method를 이용하여 계산이 가능하다. Matano-Kirkaldy method의 경우 정확한 방법이지만, Matano plane의 계산이 필요하다. Intrinsic diffusion coefficient Intrinsic diffusion coefficient refers to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a species in a homogeneous material, where no concentration gradients or other facto.. 2021. 9. 15.
상호확산계수 - interdiffusion coefficient 상호 확산 계수(interdiffusion coefficient)의 의미 상호 확산 계수(interdiffusion coefficient)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고체상에 있는 원자나 분자가 서로 확산되어 새로운 고체상이 생성되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이 과정을 상호 확산이라고 하며, 두 고체 단계 사이에 존재하는 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상호 확산 계수는 상호 확산이 발생하는 속도의 척도가 되며 서로 다른 조건에서 재료의 상변태, 금속간 화합물의 성장 속도 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필수적인 매개 변수입니다. 상호 확산 계수는 온도, 조성, 결정 구조 및 결함의 밀도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그것은 서로 다른 조성의 두 재료를 접촉하고 서로 확산될 수 있는 확산 커플(dif.. 2021. 8. 27.
사단자 측정법 / Four-terminal sensing 사단자 측정법은 물성 측정에서 전기 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측정 물의 저항 값이 비교적 낮은 경우 또는 초전도체처럼 저항이 한없이 제로에 가까워지는 경우에 유효한 측정 수단이다. 전기저항은 실온에서 일반적으로 테스터 (멀티 미터) 등을 이용하여 두 단자를 측정물의 양단에 연결하여 측정된다. 한편, 물성 측정에서 전기 저항을 측정 할 때는 극저온에서 측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측정용 금속선이 저온에서 측정물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선을 통해 전해지는 열유입을 막기 위해 직경이 얇은 케이블을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측정물이 초전도체인 경우 측정된 전기저항이 한없이 작아 지기 때문에 금속 케이블 자체의 전기 저항 및 접촉 저항이 무시할 수 없는 값이 된다. 이와 같이 보다 정확한 .. 2021.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