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료공학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의 특성

by intermetallic 2024. 12. 19.

PVDF(Polyvinylidene Fluoride)는 플루오르 중합체(Fluoropolymer)로, 뛰어난 화학적 안정성, 기계적 강도, 그리고 열적,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폴리머입니다. PVDF는 일반적으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의 중합으로 제조 됩니다.

pvdf

주요 특성

내화학성: PVDF는 강산, 강알칼리, 유기 용매 등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며, 부식 환경에서도 안정적입니다.

열적 안정성: 최대 약 150°C의 고온에서도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유지합니다.

기계적 강도: 높은 인장 강도와 내마모성을 지니고 있어, 가혹한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기적 특성: 우수한 유전체 특성을 가져, 전기 절연체로 활용됩니다.

친환경성: 재활용 가능하며, 화재 시 독성 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주요 용도

전기전자 산업: 케이블 절연재, 전선 피복, 전자부품 코팅 등.

화학 공정: 내화학성이 필요한 파이프, 밸브, 저장 탱크 라이닝.

에너지 분야: 리튬이온 배터리의 바인더 소재로 활용.

건축: 외부 건축 재료 코팅(특히 태양광 패널이나 금속 지붕).

의료기기: 멸균이 필요하거나 부식성이 강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기 구성 요소.

 

산업적 경쟁력

PVDF는 PTFE(테플론)와 비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TFE에 비해 가공성이 뛰어나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는 PVDF가 더 선호됩니다. 특히 비용과 성능의 균형 측면에서 PVDF는 경제적인 선택으로 간주됩니다.

 

주요 제조업체

리튬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는 주로 전극 바인더로 사용되며, 이 분야에서 생산 및 공급하는 주요 기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글로벌 기업

아케마(Arkema): 프랑스의 화학 기업으로, Kynar라는 브랜드명으로 PVDF를 생산하며, 리튬 이온 배터리 시장을 위한 고성능 폴리머 PVDF의 생산 능력을 약 50% 증설할 예정입니다.

솔베이(Solvay): 벨기에의 화학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용 PVDF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쿠레하(Kureha): 일본의 화학 기업으로, PVDF 생산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

한솔케미칼: 음극재 바인더의 국산화에 성공하여 삼성SDI와 SK온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LG화학: 음극재 바인더 공급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금호석유화학: 음극재 바인더 공급에 나서고 있습니다.

켐트로스: 양극재 바인더의 핵심 소재인 PVDF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이차전지 제조사에 고온 저항 및 수명 연장 기능의 첨가제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