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전공정의 물리적 한계 극복을 위한 패키징 기술의 중요성

by intermetallic 2024. 11. 4.

반도체 산업에서 더 높은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달성하기 위한 경주가 계속되고 있지만, 전공정에서 물리적 한계에 도달하면서 새로운 혁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해결책 중 하나로, 패키징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패키징 기술은 단순히 반도체 칩을 보호하고 전자 부품과 연결하는 역할에 머물렀으나, 최근에는 패키징이 반도체 성능 향상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으며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물리적 한계의 도래와 패키징 기술의 중요성

전통적인 반도체 제조 공정은 소자의 크기를 줄여 밀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공정이 미세화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 전력 소모, 전기적 간섭 등의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소자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공정 단가를 상승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여 기술적 한계를 초래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대안으로, 패키징 기술을 통해 여러 반도체 칩을 집적하고 상호 연결하는 방식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첨단 패키징 기술은 반도체 성능을 극대화하고 소형화, 에너지 효율성,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발전해 왔습니다. 대표적인 첨단 패키징 기술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2.5D 패키징: 기판 위에 여러 개의 칩을 배치해 수평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주로 실리콘 인터포저(silicon interposer)를 통해 연결됩니다. 각 칩 간의 연결이 수평으로 이루어져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인터포저가 신호 간섭을 줄이고 전기적 성능을 개선합니다. 고성능 그래픽 카드, 데이터 센터, 인공지능(AI) 연산 등에 활용됩니다.
  • 3D 패키징: 칩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적층하는 방식으로, 칩 간 데이터 전송 거리를 극도로 짧게 줄일 수 있습니다. Through-Silicon Via(TSV) 기술을 통해 칩 내부에 구멍을 뚫어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적층 구조로 인해 고밀도의 설계가 가능하며, 특히 열 방출 관리를 위한 고도의 설계가 요구됩니다. 고성능 컴퓨팅, 모바일 기기, 메모리 시스템 등에 사용되며, 높은 데이터 처리 속도와 낮은 전력 소비가 중요한 응용 분야에 적합합니다.
  • Fan-Out Wafer Level Package (FO-WLP): 기판 없이 웨이퍼 레벨에서 칩을 패키징하며, 칩의 외부까지 솔더볼을 배치해 패키지 크기를 확장하는 방식입니다. 기존 기판이 필요하지 않아 전송 지연이 줄어들고, 전력 효율성이 높아지며 패키지 두께가 얇아집니다. 이종 칩 통합이 가능해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패키지에 결합할 수 있습니다.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폰, IoT 디바이스와 같이 소형화가 요구되는 전자 제품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Fan-In Wafer Level Package (FI-WLP): 칩 크기 안에 모든 솔더볼을 배치해 패키지화하는 방식으로, 칩 크기와 패키지 크기가 동일합니다. 칩 외부로 솔더볼이 확장되지 않아 구조가 단순하고 패키지 두께가 얇습니다. 다만, 칩 크기 변경 시 패키지 크기도 변경되어야 하는 점이 단점입니다. 센서 모듈, MEMS 장치 등 크기와 비용이 중요한 소형 반도체 기기에서 활용됩니다.
  • 시스템 인 패키지(System in Package, SiP): 하나의 패키지 안에 여러 칩을 통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기능적으로는 하나의 SoC처럼 작동합니다. 여러 기능을 가진 칩들을 하나의 패키지에 집적하여 크기를 줄이면서도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이 칩 내에서 이루어져 신호 손실이 줄어들고 전력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 IoT 디바이스,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기능을 작은 공간에서 처리해야 하는 제품에 유용합니다.
  • Through-Silicon Via (TSV) 기술: 실리콘 기판을 관통하는 구멍을 뚫고, 칩 간에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주는 기술입니다. 칩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며, 높은 집적도가 가능합니다. 특히 적층형 3D 패키징에 필수적인 기술로 사용됩니다. 고성능 메모리, CPU, GPU와 같이 데이터 처리 속도가 중요한 분야에서 TSV 기술을 활용한 3D 패키징이 널리 사용됩니다.

 

패키징 기술의 미래 전망과 과제

첨단 패키징 기술의 발전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혁신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에 따른 제조 비용의 증가와 공정 복잡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또한, 열 방출과 전력 관리 문제는 3D 패키징과 같은 고밀도 통합 기술의 상용화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열 관리 소재 개발, 패키징 공정 자동화, 전력 효율 개선 기술 등의 연구가 더욱 요구됩니다.

 

댓글